기사 메일전송

文정부 부동산 정책과 전세사기: 상관관계와 해결 방안

  • 김정규
  • 등록 2024-06-03 19:45:51

기사수정
  • 수요 억제와 세금 규제의 영향 분석
  • HUG 보증보험과 전세사기의 예방 역할


  전세사기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수요 억제와 세금 규제를 강화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대표적인 수요 억제 정책으로는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 강화가 있다. 또한,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강화했다. 

 

 임대차 3 법은 임대차 계약 갱신 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전세금 반환 보증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법안들은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한 취지였으나, 결과적으로 전세시장에서 부작용을 초래했다. 전세 계약 갱신 청구권은 임차인이 계약을 연장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지만, 임대인들이 이를 피하기 위해 초기 전세금을 높게 설정하거나 월세로 전환하는 경향을 초래했다. 전·월세 상한제는 임대료 인상 폭을 제한하였으나, 이로 인해 임대인들이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게 되었다.

 

   특히, 전세자금대출 확대는 전세사기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이 무제한으로 제공되면서 사기범들이 이를 악용하여 갭투자를 통해 전세 사기를 일으켰다. 임차인들은 정보 부족과 전세 자금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전세 사기의 피해자가 되기 쉬운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강화된 보증금 보증 가입조건과 가격 통제 정책은 오히려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임대인들은 낮은 가격으로 세입자를 구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임차인들은 전세금 대출을 받기 어려워졌다.

 

   전세사기와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보험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HUG 보증보험은 전세금을 보호하기 위해 세입자가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이다. 전세사기 피해를 입은 세입자는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HUG 보증보험에 가입하면 HUG가 대신 전세금을 보상해 준다. 이는 세입자의 재정적 손실을 줄이고, 전세사기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만, 보증보험 가입 요건과 한계로 인해 모든 세입자가 혜택을 받지는 못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전세사기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개선이 필요하다. 현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