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가계부채 증가 속, 가계신용 하락의 위험도 고려해야

  • 김정규 기자
  • 등록 2024-08-26 17:13:19

기사수정
  • 가계부채 증감율 둔화, 가계신용 감소로 이어지나
  • 가계신용 하락의 이면: 경제 성장과 소비 활성화의 필요성
  • 부채 관리와 경제 성장의 균형: 가계신용 하락의 위험 고려해야





최근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는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가계부채는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의 연평균 증가율이 6.5%에 달한 반면, 윤석열 정부에서는 강력한 금융 규제와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가계부채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증가율 둔화가 단순히 긍정적인 신호로만 해석되기는 어렵다. 


가계부채의 증감률이 둔화된 것은 일견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이를 통해 나타난 가계신용의 감소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를 제기한다. 가계신용의 하락은 가계가 빚을 줄이는 과정에서 소비를 축소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수요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소비가 국내 경제의 주요 성장 동력인 한국의 경우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가계부채 관리에 있어서 단순히 부채 증가율을 억제하는 데만 집중하기보다는, 가계신용의 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위험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필요한 정책 방향 


완화된 금리 정책: 금리 인상을 통한 가계부채 억제는 효과적이지만, 지나치게 높은 금리는 가계신용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고, 필요에 따라 완화된 금리 정책을 병행해야 한다.


소비 촉진 정책: 가계의 소비 여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세제 혜택을 통해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증가시키거나, 소비를 유도하는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다.


부채 관리 지원: 가계가 부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재정 상담 서비스 및 부채 재조정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가계가 지나치게 부채에 얽매이지 않고, 안정적인 재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경제 전반의 성장 촉진: 경제 성장을 통해 가계의 실질 소득을 증가시키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자리 창출, 산업 혁신, 수출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


정부는 통해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가계신용의 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